본문 바로가기

~2010/책과 사람

[인터뷰]<합★체>의 작가 박지리

다루는 분야가 '문학을 제외한' 출판이다보니 '저자'는 종종 만나곤 하지만 '작가'를 만날 기회는 그리 많지 않다. 다만 어린이,청소년책 분야는 내가 커버하고 있는 분야라서 가끔씩 간담회에서 만난다. 출판사는 보통 자사가 주관한 문학상 수상작이 단행본으로 출간됐을 때 기자간담회가 열어 인위적으로 기자들을 불러모으곤 하는데 아무래도 작가로서 처음 출발하는 신인에 대한 힘 실어주기이자 배려인 것이다.

사계절 문학상은 이번이 8회째라고 하는데 수상작은 이번이 다섯번째다. 3회와 5회, 7회째가 빠져 있다. 응모작들이 미흡하다고 생각되면 건너뛴 것이다. 수상작의 '품질'을 관리하려는 나름의 선의 있다는 설명이다. 어쨌거나 저쨌거나 <합★체>는 재밌다. 대번에 만화를 연상시킨다. 만화 대본, 또는 텔레비전 단막극 대본으로 적합하다는 느낌이 든다.

작품이 태어나고 걸음마를 해온 이력도 재밌다. 작가가 처음 완성한 작품이라고 하는데 한달여 만에 탈고했다고 한다. 작가의 설명은 거칠게 요약하자면 '백수의 소일거리' 정도로 출발했다는 것 정도인데, 작품을 보면 '설마 진짜 그러하랴, 겸손이겠지'라는 생각이 든다. 그런데 작가의 표정을 보면 진짜 그런 것 같기도 하고 알쏭달쏭이다. 작가가 일부러 자신을 희화화하거나 극도로 겸손해서 그런 게 아니라면 진실로 믿을 수 밖에.

작가는 글을 써서 돈을 벌 수 있다는 것, 다시 말해 이런 공모가 있다는 사실 자체를 몰랐다고 한다. 그런데 지난해 초 세계일보 청소년 문학상 공모를 인터넷에서 보면서 당선되면 상금이 꽤 된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세계일보 청소년 문학상은 작년에 3회째 진행되고 끝났는데 상금은 3000만원이었던 것으로 안다.) 그래서 작품을 써서 응모했는데 낙방했다 한다. 그런데 예심 탈락이 아니라 본심에서 간발의 차로 탈락했던 모양이다. 심사위원 가운데 한분이 작가에게 전화해 사계절 문학상 투고를 독려햇다고 한다.(당연히 그가 사계절 문학상 심사위원은 아니었다)

키작은 난쟁이 형제의 설움이라는 다소 칙칙할 수 있는 소재를 너무나 유쾌, 발랄하게 그리고 있어 신간홍보용으로 보내온 한권을 부장께 드렸다. 부장은 아들이 고등학생이다. 기사에도 인용했지만 우리 문학사에서 난쟁이 하면 조세희 선생의 작품이 제일 유명할 것이다. <합★체> 역시 이 작품을 일부 인용하고, 모티프를 빌려오기도 했다. 그런데 여기서 문제. 조세희 선생이 쓴 것은 <난쟁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일까,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일까. 정답은 후자다. 출판사 보도자료에 전자로 기술돼 있어 생각없이 기사에 그대로 옮겨 썼다가 교열팀에서 지적당했다. 맞춤법 상으로는 난쟁이가 맞지만조세희 선생의 작품명은 후자라고. 출판사의 실수인 것으로 판단됐다.

사계절 출판사 담당 편집자와 우연히 이메일을 나눌 기회가 있었는데, 마침 그 생각이 나서 얘길 했다. 그랬더니 '크크..'로 시작되는 답변이 왔다. 그것 때문에 자기들도 많이 고민했다는 것이다. <합★체>는 26장으로 구성됐는데 7개의 장이 '아버지는 난쟁이였다'로 시작한다. 맨 첫장에 등장하는 '아버지는 난쟁이였다'는 각주에 이 문장이 조세희의 <난쏘공>에서 빌려온 것인을 밝혀두었다. 그런데 조세희는 '난장이'라고 썼다. 그럼 작가가 쓴 '난쟁이'를 모두 '난장이'로 바꿔야 하는가, 아니면 조세희의 '난장이'를 어떻게 할 것인가? 편집자를 마지막까지 고민하게 만든 것이 그것 이었다고 한다.

결국 '난쟁이'로 통일하기도 하고 조세희 선생에게 작품을 보이면서 허락을 받았다고 한다. 중고교 교과서와 참고서에서 <난쏘공>의 풀네임이 '난쟁이'로 기술된 경우도 적지 않다는 우군도 확보했단다. 출판 편집자의 일이 무척 꼼꼼함을 요구해야 하는 직업임을 알고 있었고, 상상도 했지만 실제 사례를 접하고 보니 정말 간단치 않은 작업이구나 싶다.

한가지 더. 이 작품의 표지는 만화가 최규석 작가가 그렸다. 표지를 보자마자 최규석 작품이라는 것을 눈치챘는데 최근에 사계절에서 나온 <울기엔 좀 애매한>이란 만화 단행본을 봤던 기시감 때문이었을 것이다.

나는 요즘 나오는 국내외의 청소년 대상 소설을 볼 때마다 성인이 읽기에도 훌륭하다는 생각을 많이 한다. 오히려 짧은 분량, 적당한 긴장감, 상대적으로 진폭이 크지 않은 반전 등등이 출퇴근 지하철 또는 시내버스 독서용으로 금상첨화라는 생각이 들기도 한다. <합★체> 역시 그 범주에 포함시키기에 손색이 없다.
 
“만화처럼 재미난 이야기 쓰고 싶은 욕심은 있었다”
-장편소설 ‘합★체’로 사계절문학상 수상한 박지리씨

합체 (양장) - 10점
박지리 지음/사계절출판사

지난 2월 장편소설 <합★체>로 제8회 사계절문학상 수상작가가 된 박지리씨(25·사진)는 아직도 ‘작가’라는 호칭이 어색하고 부담스럽기만 하다. 부끄러움이나 겸손함 때문만은 아니다. 생애 처음 완성한 장편소설이 덜컥 문학상 수상작으로 선정된 데다, 정작 소설가를 꿈꿔본 적도 없기 때문에 더욱 그렇다. <합★체> 출간 즈음에 24일 기자들과 만난 박씨는 여전히 “(작가라는 것은) 내가 하고 싶다고 되는 것이 아니니까 두번째 작품이 나와 봐야 알 수 있을 것 같다”고 말했다.

<합★체>는 공을 굴리며 쇼를 하는 게 직업인 난쟁이 아버지에게서 태어난 난쟁이 일란성 쌍둥이 고교생 ‘오합’과 ‘오체’가 주인공이다. 작은 키 때문에 좋아하는 여학생에게 다가가지도 못하고 반 친구들과 선생님에게 구박만 받던 체는 어느날 동네 약수터에서 한 노인을 만난다. 계룡산에서 도를 닦았다는 자칭 ‘계도사’다. 여름방학이 돌아오자 체는 합을 꼬드겨 짐을 꾸린 뒤 계룡산으로 떠난다. 계도사에게 전수받은 키가 크는 ‘비기’를 계룡산 동굴에서 33일 동안 수련하기 위해서다.

이 작품은 조세희의 소설 <난장이가 쏘아 올린 작은 공>과 체 게바라 이야기가 마치 배경음악처럼 바탕에 흐른다. 에피소드들을 이어주는 쐐기 역할을 하기도 한다. 알다시피 <난쏘공>은 1970년대 산업화와 도시화를 예리하게 비판한 사회성 짙은 작품이고, 체 게바라는 ‘혁명가’의 대명사다. 이런 소재를 등장시킨 의도를 물었더니 돌아온 작가의 설명은 맥이 빠질 정도다. 박씨는 “그냥요…”라며 말끝을 흐리더니 조그만 목소리로 말했다. “키가 작은 아이들의 이야기를 구상하다보니 <난쏘공>이 떠올랐고, 쌍둥이 동생 이름을 ‘체’라고 지었더니 자연스럽게 체 게바라가 연상됐어요.” 그런가 하면 <난쏘공>의 ‘공’은 <합★체>에서 아버지가 굴리는 공, 합과 체가 다뤄야 하는 농구공으로 변주됐다.

이처럼 소재의 무게에 짓눌리지 않고, 자유롭게 차용하고 이어붙일 수 있었던 것은 단지 그가 젊기 때문만은 아닐 것이다. 경계에 얽매이지 않는 상상력과 자신감이 뒤에서 받치고 있기에 가능했다는 얘기다. 박씨는 여러모로 ‘기린아’가 틀림없어 보인다. 지난해 상명대 역사콘텐츠 학과를 졸업하고 한 달 만에 이 작품을 썼다는 박씨는 그 흔한 문학교실 같은 곳에서 글쓰기 수업을 받아본 적도 없다고 했다. 다만 어렸을 적부터 좋아한 고전문학과 추리소설, 특히 깊게 심취한 만화처럼 재미난 이야기를 써보고 싶다는 욕심이 있었다.

어머니가 젊었을 때 재미있게 읽었던, 지금은 제목조차 기억하지 못하는 소설의 주인공 이름을 따서 ‘지리’라는 이름이 정해졌다는 박씨. 그는 “제가 글을 계속 쓴다면 첫번째로 염두에 두는 것이 재미”라면서 웃었다. (2010.8.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