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0/구워진 글

[리뷰]좌우파 사전

기사에도 언급하긴 했지만 '좌파'와 '우파'라는 양분법으로 이처럼 많은 쟁점을 담아낼 수 있다는 것을 보고 새삼스럽게 놀랐다. 개인적으로 우파를 자처하는 분들이 사용하는 언어나 내세우는 논거의 천박함에 기함을 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 때문에 그들의 논리 자체를 잘 들여다보지도 않게 된다. 이게 반복되다보면 거울 이미지처럼 나도 그렇게 될지 모른다. 덮어놓고 딱지붙이고, 험담하고, 비난하기 말이다. 책은 제목에 '사전'을 달고 있거니와, 필자가 14명이나 되다보니 깊이 보다는 넓이에 치중한 느낌이다. 스타크래프트란 게임을 해본 적은 없지만 '맵'이란 것을 선택해서 게임을 하는 것을 보았다. 이 책은 마치 우리 사회에 대한 '맵'으로 볼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한편으론 사안별로 대립된 시각을 해설하고 자신의 시각을 펼치라는 식으로 출제되곤 하는 논술시험 대비용으로도 괜찮아 보이고. 아무래도 사전이다보니 한번에 잡고 쭉 읽어가기 엔 단행본으로서의 힘이 좀 약하다. 사안별로 생각나면 찾아서 읽어보는 용도로 더 적합해 보인다는 뜻이다.

하나의 현실을 판이하게 해석 ‘피 냄새’ 나는 두 시선
-한국 좌파와 우파의 재구성


좌우파사전 - 10점
구갑우 외 13인/위즈덤하우스

얼마 전 있었던 일이다. 아이돌 출신으로 영화에도 몇 번 출연한 가수가 잡지와 인터뷰를 했다. 그는 영화계에 서운한 게 많았던 모양이다. “한국 영화계의 본바탕은 좌파다. 굉장히 우호적이지 않다”고 말했다. 이 발언이 알려지면서 인터넷 세상은 와글거렸다. 왜 아니겠는가? ‘좌파’라는 단어가 인터뷰 맥락과 별로 상관 없어 보이는 지점에서 생뚱맞게 등장했기 때문이다. 소동이 일자, 그는 “내 무지에서 비롯된 실수”라고 사과했다. ‘영화계는 자존심이 강하고 냉소적인 성격이 강한 집단’ 정도의 뜻을 담아 사용한 말이었다는 해명도 흘러나왔다.

한국 사회에서 ‘좌파’라는 단어가 사용되는 방식을 보여주는 여러 웃지 못할 해프닝 가운데 하나다. 우파 개념의 경우도 사정이 별반 다르지 않은데, ‘한국 사회에서 우파란 누구인가’를 정의하기 위해선 상당히 어려운 퍼즐을 풀어야 한다. 사실 좌파와 우파 개념은 차분하게 논의되기보다는 상대에게 딱지를 붙이고 공격하기 위한 도구로 사용되는 경향이 강하다. 미국도, 유럽도 그런 경향이 있다. 그런데 한국 사회가 경험한 역사의 잔재, 이로 인해 만들어진 특수한 담론지형 안에서 두 개념이 유통되면서 덧칠된 낙서와 얼룩, 흉터가 너무나 어지럽다. 그래서 조국 서울대 교수는 “한국에서 좌파, 우파라는 단어에서는 그 자체로 피냄새가 난다”고 했다.


구갑우·김기원·김성천·서영표·안병진·안현효·은수미·이강국·이건범·이명원·이병민·조형근·최현·황덕순 등 각계의 중진 학자 14명이 집필에 참여한 <좌우파 사전>이 한국의 좌파와 우파를 설명하기 위해 귀납적 접근법을 택한 것은 이런 어지러운 사정을 감안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논쟁이 치열하게 벌어지고 있는 여러 주제들에 대한 좌파와 우파의 기본 입장과 주장, 그들이 추구하는 대안이 어떠한지 살펴봤다.

사안별 입장을 통해 독자들로 하여금 좌파와 우파 각각의 모습을 그려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나아가 이 작업은 대한민국 자체의 모습을 그리는 것에 다름아니다. 좌파와 우파가 벌이는 현실에 대한 해석투쟁과 미래에 대한 대안경쟁을 모자이크하면 바로 대한민국이 현재 서 있는 곳, 앞으로 나아갈 곳에 관한 대략의 좌표를 구할 수 있기 때문이다.

집필진은 대체로 좌파쪽에 가깝다. 좌우파의 입장을 소개하는 데 필자마다 다소 편차도 감지된다. 이는 다수의 필진이 참여한 책의 특징이기도 하거니와, 너그럽게 보자면 서로 다른 방식으로 주제를 분해하고, 나열하고, 다시 조립하는 모습을 감상하는 재미를 안겨준다.

‘사전’이라는 제목답게 분량 600여쪽에 7개 분야 22개 표제어가 실렸다. 그 목록을 일별하는 것만으로도 좌파와 우파가 한국 사회에서 얼마나 포괄적으로 대립하고 있는지 알 수 있다. 이는 곧 좌파와 우파가 한국 사회를 분석하는 데 매우 유용한 분석틀이라는 것을 뜻한다. 각각의 표제어는 독립적으로 한국의 현실, 우파의 주장, 좌파의 주장, 대립의 본질과 전망, 더 읽을거리, 사전적 정의의 순으로 구성됐다. 반드시 처음부터 읽을 필요는 없다. 관심 있는 주제부터 읽어도 좋다.

개념과 현실(좌파와 우파), 민주공화국(국민주권과 대의제·법치주의·애국), 주권의 공존과 충돌(남북관계·한미동맹), 시장과 대안(시장과 국가·신자유주의·노동시장 유연화·소득분배와 경제성장), 공공성과 효율성(업적주의와 사회적 불평등·연대와 경쟁·신빈곤과 사회적 위험·노사갈등과 민주주의·생태위기와 녹색담론), 인권과 사회(범죄와 처벌·자유권적 기본권 제약·소수자 인권), 지식과 권력(역사기술과 정치·영어 공용화론과 영어 몰입교육·대중지성과 전문가 권위·대학과 지식생산·고교 평준화와 학교 다양화).

거칠게 정리하자면 한국의 좌파는 평등의 지속적 확대를 주장하는 반면, 우파는 현존하는 불평등의 불가피성 또는 순기능을 옹호한다. 양측 모두 자유를 중요한 가치로 내세우는데 자유에 대해선 영역에 따라 달라진다. 그리고 좌파는 직접민주주의를, 우파는 간접민주주의를 옹호하는 경향을 보인다. 그러나 각론에 들어가면 좌파와 우파는 사안별로 대립하고, 때로는 입장이 중첩되거나, 심지어는 역전되기도 한다.

시사 프로그램 진행자로 오래 활동한 정관용씨는 추천사에서 “이 책이 다루는 주제들은 내가 12년 동안 라디오와 텔레비전 시사 프로그램에서 소재로 삼았던 사건이나 화제를 영역별로 갈무리한 것”이라고 말했는데, 이 책의 성격을 제대로 규정했다. 독자는 좌파와 우파가 벌이는 논리싸움의 향연을 감상하면서 자연스럽게 자신의 입장이 어느 입장에 가깝게 서 있는지, 왜 그런지를 성찰할 수 있다. 소통은 그 다음이다. 우선은 자신이 서 있는 곳과 상대방의 모습을 가감없이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책이 목표한 것도 그것으로 보인다. 소통을 하든, 싸우든 변죽만 울리지 말고 제대로 한 번 해보자는 것 말이다. (2010.8.28)